경제 와 제테크

인도시아 소개

dunia 2008. 7. 25. 09:34

 

인도네시아 공화국(인도네시아어: Republik Indonesia 레푸블리크 인도네시아)는 동남아시아에 있는 섬 나라이다. 섬은 세계에서 가장 많은 2만 개를 보유하고 있으며 이슬람교 국가 중 인구가 많은 나라에 속한다.

인도네시아는 인도차이나에서 오스트레일리아까지 이어지고 인도양과 태평양 사이에 위치한 세계 최대의 열도인 말레이 열도에 속한다. 이슬람교 신도가 인구의 약 90%를 차지하고, 이슬람 국가 중 가장 인구가 많으며, 중국, 인도, 미국에 이어 세계에서 네번째로 많은 인구를 지니고 있다.

●지리
인도네시아 지도인도네시아는 18,108개의 섬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6,000개의 섬에 사람이 살고 있다. 사람들이 많이 사는 섬은 세계에서 인구밀도가 제일 높고 인도네시아 인구의 절반이 살고 있는 자와 섬, 수마트라 섬, 보르네오 섬, 파푸아 섬, 술라웨시 섬이다.

●행정 구역
인도네시아의 행정 구역은 30개 주(provinsi), 2개 특별주(daerah istimewa), 1개 수도권(daerah khusus ibu kota)의 33개로 나뉜다. 수도는 자카르타이다. 제 2의 도시는 수라바야이다.

●언어
공용어는 인도네시아어로 인도네시아의 국어이다. 회화체 언어로는 어휘, 문법 규칙 등이 서로 다른 583개 이상의 방언이 인도네시아어와 함께 병존하며 각 지역의 일상 생활에 사용되고 있다.

인도네시아어가 국어이기는 하나 일상에서 사용하는 사람은 약 3,000만명 정도로 전국의 인구에 비해 의외로 적지만, 제2언어로서 사용할 수 있는 사람은 꽤 많다.

또 수도 자카르타에 돈벌이하러 나오는 사람도 꽤 많기 때문에 지방 사람이라도 인도네시아어는 필수이며, 사용할 수 없으면 돈벌이에도 영향이 미친다. 그 외에도 자바어, 마두라어, 발리어, 중국어, 네덜란드어, 영어, 말레이어등도 사용된다.

문맹퇴치율:88.5%(2003년)
인도네시아어는 말레이어의 한 변종어로서 1928년 화란으로부터 독립하며, 청년단체가 말레이어를 약간 개정하여 인도네시아어로 재정한 것이다. 말레이반도에서 사용되는 말레이어와는 거의 흡사하나 발음, 철자, 단어의 의미, 문법 규칙등이 약간씩 다르다. 어족으로는 오스트로네시아어족 중 서부오스트로네시아어족의 말레이어파에 속하며, 유형학적으로는 교착어(어근에 접사가 붙어 다양한 품사로 파생되는 언어)에 속한다.

인도네시아어외에 인도네시아의 각 지역에서 사용되는 지방어는 현재 742개(2005년 SIL 조사)로 추산된다. 이들에는 자와어, 순다어, 마두라어, 발리어, 람풍어, 바탁어, 아체어, 이반어, 다약어, 마카사르어, 부기스어 그리고 머나도어 등이 있다.

●민족
자바인 45%, 순다인 14%, 마두라인 7.5%, 연안말레이인 7.5%, 중국인, 인도인, 파푸아인, 유럽계등 기타 26%.

●문화
이 나라는 섬이 약 1만 8천개이며, 동서로 멀리 뻗어 있는 국토로 인해 각 섬마다 독특한 고유 문화를 유지하고 있다

var Toggle =1; function MStop() { Toggle =0; NewsMarQuee.stop(); } function MStart() { Toggle =1; NewsMarQuee.start(); }
  • 영어 샘플보기
  • 일본어 샘플보기
  • 중국어 샘플보기
  • 프랑스어 샘플보기
  • 스페인어 샘플보기
  • 독일어 샘플보기
  • 러시아어 샘플보기
  • 인도어 샘플보기
  • 아랍어 샘플보기
  • 베트남어 샘플보기
  • 태국어 샘플보기
  • 뱅골어 샘플보기
  • 몽골어 샘플보기
  • 인도네시아어 샘플보기
  • 파키스탄어 샘플보기
  • 크메르어 샘플보기
  • 라오스어 샘플보기
  • 미얀마어 샘플보기
  • 네팔어 샘플보기
  • 티베트어 샘플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