맛 잇는 음식....

우렁이

dunia 2009. 9. 4. 16:03

우렁이
우렁이 1     우렁 속살 2    

중복속목 논우렁과의 속칭.
복족류에 속한다. 논우렁이·논고둥·강우렁이라고도 한다. 한자어로 전라(田螺)·토라(土螺)라고도 한다. 《재물보》, 《물명고》 등에 전라를 우렁이라 하고 육지의 못이나 논에 있다고 하였다. 껍데기 높이 약 40mm, 너비 약 30mm이다. 각피(殼皮)는 녹갈색이다.

나탑(螺塔:체층 위에 있는 층 전체)은 6층이고 봉합(縫合:체층 위에 있는 층 전체)은 깊다. 각정(殼頂)이 침식되는 경우가 많다. 껍데기 주둥이는 넓고 둥글다. 뚜껑은 각질(角質)로 달걀 모양이고 가운데가 오목하며 황갈색으로 반투명이다. 뚜껑의 표면에 중심이 같은 원이 많이 있다.

논이나 소택지에서 흔히 볼 수 있다. 겨울에는 건답에서 월동하는 등 장기간 건조함을 참고 견딜 수 있다. 최근에는 농약의 오염으로 그 수가 극히 줄어들고 있다. 암수의 구별이 뚜렷하며, 수컷의 오른쪽 촉수는 구부러져 있어 생식기 기능을 한다. 암컷은 수컷보다 크고 체내수정하며 난태생이다. 부화 후 1년이면 생식력을 가진다. 수명이 7∼8년까지인 것도 있다. 한국·일본·타이완·중국에 분포한다.

우렁이는 이빨이 달린 잡식성이므로 아무거나 다 잘 먹는다.
우렁이는 알을 낳지 않고 새끼를 낳고 수입해 들어온 왕우렁이는 알을 낳는다.
참고로 뱀도 독사종류는 새끼를 낳고 구렁이 종류는 알을 낳는다.

우렁은 육류와 비슷한 정도의 단백질 함량이 들어 있는 데, 지질의 함량이 아주 적어 담백한 맛을 가지고 있다. 칼슘과 철분이 많아 골격형성을 도와주는 식품이다.

♠ 우렁을 먹으면 각기병 예방과 치료에 유효하다.

♠ 황달은 간장의 질병으로 인해 혈액 속에 이상이 생겨 나타나는 것으로 눈의 흰자위와 피부가 모두 노랗게 된 상태이다. 황달을 포함한 간장병에 있어 한방은 효과적인 처방을 많이 가지고 있는데 그 중 하나가 우렁이 볶음이다. 우렁이는 약성이 차고 맛이 달며, 간장의 염증성 열을 식혀 주고 아울러서 간장을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인진쑥은 소염, 심장 기능 강화, 체내 독소 배출에 효험이 있으므로 우렁이와 함께 복용하면 황달 증세를 개선시키는 데 매우 유용하다.

♠ 폐렴에는 우렁을 직찧어서 그 즙을 먹으면 2 ~ 3일 내에 열이 떨어진다.

♠ 장염에는 우렁이 껍데기 6 ` 10개를 1회분으로 볶아서 가루네어 하루 2회식 3 ~ 4일 복용한다.

♠ 급성 신장염에나 고환염에는 우렁이 속살에 메밀가루를 부리면 우렁이 속살이 녹는다. 이것을 기름종이나, 거즈에 발라 하복부에 붙이고 마르면 바꿔 붙이면 특효이다. 또 우렁이를 껍질째 으깨어 밀가루로 반죽하여 하복부에 붙이면 부종도 낳는다.

♠ 우렁이를 껍질째 찧어 뜨거운 술로 삼킨다. 또 파의 흰 머리를 소금과 함께 찧어 배꼽을 중심으로 두껍게 붙여준다.

※ 영양성분 함량 : 수분 80.6%, 단백질 10.5g, 탄수화물 3.8g, 회분 3.7g, 칼슘 1202mg, 인 87mg, 철 5.8mg.


우렁이 찌개
재료
우렁이 ........................ 200g
호박 .......................... 1/2개
풋고추 ........................ 4개
고추장 ........................ 2TS
된장 .......................... 2TS
대파 .......................... 1뿌리
마늘........................... 3쪽
소금, 후추 .................... 조금

만드는 법

  • 우렁이는 소금물에 깨끗이 씻어 살짝 삶아서 살만 빼 놓는다.
  • 호박은 납작하게 반달형으로 썰고, 풋고추ㆍ대파는 어슷하게 썰고, 마늘은 다진다.
  • 냄비에 물을 붓고 된장을 조리에 걸러 푼 후 고추장을 넣어 한소끔 끓인 다음 우렁이는 넣는다.
  • 3에 풋고추ㆍ호박ㆍ다진 마늘을 넣어 끓이다가 소금으로 간을 하고 대파를 넣는다.
  • 우렁이된장찌게
    재료
    우렁이 ........................150g
    마른우거지 .................... 20g
    표고버섯 ...................... 2장
    풋고추 ........................ 1개
    붉은 고추 ..................... 1개
    굵은 파 ....................... 1/2뿌리
    멸 치 ........................ 20g
    물 ............................ 2컵
    된장 .......................... 1 1/2큰술
    고추장 ........................ 2작은술
    다진 마늘 ..................... 조금
    들깨가루 ...................... 1큰술

    만드는 법

  • 마른 우거지는 지저분한 잎을 뜯어내고 끓는 물에 넣어 무르게 삶아 낸 후 찬물에 오랫동안 담가 맑은 물이 나올 때까지 여러 번 헹구어 물기를 꼭 짠 후 2~3cm 길이로 송송 썬다.
  • 불린 표고버섯은 깨끗이 씻은 후 얇게 채 썰고 풋고추와 붉은 고추는 어슷썰어 찬물에 헹구어 씨를 털어낸다.
  • 물 2컵에 머리와 내장을 빼낸 멸치 20g을 넣어 15분 정도 팔팔 끓여 멸치국물이 충분히 우러나면 멸치를 건져낸다.
  • 멸치 건져낸 국물이 팔팔 끓으면 된장이 덩어리지지 않게 조리에 걸러 풀고 고추장도 함께 풀어 국물과 어우러지도록 잘 섞는다.
  • 된장과 고추장을 풀어 놓은 멸치국물에 손질해 놓은 표고버섯과 붉은 고추, 풋고추, 우거지, 굵은 파를 넣고 우렁이를 넣은 후 한소끔 끓인다.
  • 한소끔 끓여 우렁이 살이 어느 정도 익었으면 들깨가루 2큰술을 넣은 뒤 다진 마늘을 넣고 마지막 간을 맞춘다.
  • 된장찌개는 잘 식지 않도록 뚝배기에 끓여 그대로 내는 것이 운치가 있다.
  • 우렁이무침
    재료
    우렁이
    계절야채(계절에 따라 식성에 맞는 야채 선택)

    양념장
    간장, 고추장, 파, 마늘

    만드는 법

  • 우렁이 살을 데쳐 찬물에서 바락바락 주물러 빨아 낸다.
  • 다시 한번 뜨겁게 살짝 데쳐 낸다.
  • 양배추, 당근, 오이는 채썰어 양념 고추장에 넣어 고루 버무려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