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쓴이: 악파트
현재 원/달러환율은, 우리나라의 증시와 움직이는 방향이 거의 같습니다. 우리나라 증시뿐 아니라 전세계 증시는 미국의 증시와 움직이는 방향과 폭이 같습니다.
미국증시가 떨어지면? 유럽과 아시아권 증시가 떨어집니다. 경기침체와 디플레이션이 그만큼 더 가까이 다가왔고, 경제위축에서 자유로운 나라 없기 때문이겠지요. 옆에서 떨어지면 우리는 더 많이 떨어집니다. 중국이나 일본은 그나마 외환보유고라도 빵빵하고, 유럽은 실제 기축통화국입니다. 우리는 더 당할 수밖에 없겠지요. 미국증시가 떨어지면, 외국인의 주식/채권 투자자금의 탈출규모가 커집니다.
현재 서울의 외환시장에서 일 거래규모는 30-40억달러 수준입니다. 반면에 역외선물환 시장(NDF)의 일 거래규모는 120억 달러에 육박했습니다. NDF는 '역외차액결재선물환'을 말합니다. 역외라 함은 우리나라 밖에 있다는 뜻일 테구, 채액결재라 함은 계약금 전체를 현찰로 치고박는 게 아니라 계약당시의 환율과 결제시점의 환율 차이만큼만 결재하면 된다는 뜻이겠죠. 이 차액결재의 특성으로 인해, 레버리지(leverage)가 자연스럽게 발생합니다. 적은 밑천을 갖고 큰 거래를 할 수 있다는 말이지요.
11월 들어 우리나라 증권시장에서 빠져나간 외국인 자금이 기껏 2조원이 안될 것입니다. 충분히 주식가격이 떨어져서, 환율이 충분히 높아서 외국인들이 맘 놓고 빠져나가지 못하는 환경이 돼가고 있는 것이겠지요. 채권시장에서도 외궈 보유비중이 전체 채권물량 대략 1000조원의 4.5% 수준인 45조원쯤으로 충분히 낮아 더 많이 빠져나가기도 쉽지 않습니다. 11월 들어 실제 많이 잡아 2조원 == 30억불쯤이 빠져나가고 있을 뿐인데, '환 헤지'를 존재이유로 하는 시울 외환시장의 보완적 역할을 해야하는 역외선물환시장은 일거래규모가 120억 달러에 이릅니다.
이 많은 역외선물환 거래는 다분히 '투기적 세력'이 지들끼리 치고박고 하고 있다는 의미로 읽힙니다. 특별한 실수요 없이, 향차 전개될 원/달러 환율을 놓고 투기질(specualtion)하고 있다는 것이지요. '헤지펀드' 등 한국을 노골적으로 빨아먹으려고 하는 세력이 있는지는 아직 불확실합니다. 다만, 우리 환율을 놓고 장난치는 넘들이 많은 건 분명합니다. 문제는, 이 넘들이 작심한 꾼들이냐, 아니면 우리의 무능이 만들어 놓은 멍석을 그냥 지나치기 어려운 참새들이냐의 차이겠죠.
아까 미국증시와 외국인 탈출자금의 관련성에 대해 말씀드렸습니다. 이 연관성은 역외선물환 시장에서도 대략 적용되는 논리이지 싶습니다. 결국 역외선물환 시장에서 투기질을 하는 세력은,
(1) 국내 증권시장에서 외국인이 대규모로 탈출할 것이다, (2) 전세계 증시가 폭락하니까 국내의 해외펀드가 맺어놓은 환헤지 때문에 결국 달러매수 수요가 많아질 수밖에 없다, (3) 세계경제가 위축되니까 수출을 중심으로 하는 한국의 수출업체(특히 조선사)들이 기존에 맺어놓은 달러매도 계약에 따라 달러 매수 수요가 많아질 수밖에 없다. (4) 한국의 경상수지가 기획재정부의 발표에 따라도 내년에 56억불 적자라더라. 장기적으로 외환 수급이 좋을 리 없다. (5) 외환유동성 위기를 겪고 있는 한국이 기대하는 봄날, 즉 국제 금융시장이 풀려서 기존 외채 돌려막기(만기이월과 차환발행)가 쉬 오지 않으리라, (6) 한국은행이 부도 일보직전이다. 지금 빠져나가는 게 그나마 손해 덜 보는 것이고, 지금 환율 역시 충분히 낮다. 이와 같은 재료를 근거로 열심히 투기질을 해댈 수 있지 싶습니다.
수출업체가 쉬 달러를 내놓지 않고, 수입업자는 당장 결재수요가 있고, 외국인은 빠져나가고, 우리의 경우 수급이 완전히 꼬여 있습니다. 실상 모든 환경이 우리에게 유리하지 않습니다. 그렇다고 역외환시장에 정책당국이 자체적인 규제책을 내놓기도 '거시기'합니다. 괜히 없어 보이고 꿀려 보이니까요. 고립을 자초하는 모습이기도 합니다. 당국이 시장에 개입하기에 우리는 실탄이 부족합니다.
우리의 외환보유고는 절대액의 측면에서 충분히 안정적인 규모입니다. 우리만 당하지 않을 정도는 되리라 봅니다. 우리가 당하면 미국이나 중국, 일본 등도 덩달아 당하겠지요. 우리 은행에 결국 공적자금이 투입되면 기존 주주들 타격을 받아야 합니다. 외궈 지분들 높아서 장기, 전략적 펀드/투자자들에게 결코 좋은 것이 아닙니다. 우리가 미국 채권 많이 들고, 두 눈 뻔히 뜬 채 코를 베인다면, 미국 채권은 그날로 골로 가야 할 것입니다.
그러나 우리는 쉬 움직이지 못하고, 역외선물환 시장은 제 맘껏 움직입니다. 절대적 총량의 개념에서 우리는 이리 흔들릴 만큼 나약하지 않습니다. 그럼에서 현실에서는 이리 난잡하게 흔들립니다.
어찌 해야 할까요? 결국은 우리의 기초체력과 실력에 대한 신뢰의 문제가 될 것입니다. 우리 자신이 우리가 만드는 정책들에 신뢰를 하지 못하는데, 외궈들이 믿어주면 그게 이상한 것이겠지요. 신뢰를 쌓을 만한 짓도 하나 하지 않고 있기도 합니다. 뭐, 방법이 없습니다. 우리의 선장과 그 휘하 뱃놈들의 생각이 워낙에 확고하니. 맛을 봐야 똥을 먹은 줄 알 겁니다.
일단, 1500선을 돌파해도, 국내 수출업체들이 물량을 계속 틀어쥐는지 지켜나 봅시다. 이 환율에도 수입업체들이 계속 수입을 해대나 지켜 봅시다. 이렇게 환율이 올라 수입물가가 폭등하는 데도, 한은이 금리인하 타령을 계속하는지 지켜나 봅시다.
일단 1500선을 뚫어놓았으니, 이제 꼭대기도 없어진 넘, 1600이 되었든 1800이 되었든, 주가지수는 꼴아박을 것입니다. 수입의존도가 높은 나라, 수입물가가 오르면 자국의 내수가 줄어드는 것은 당연하고 경제가 그만큼 아작 날 테니까요. 주가지수가 747 강을 건너고, 환율이 1600원 요르단을 넘을 때에도 외궈들이 울면서 돈을 던지나 봅시다.
이리 되어도 망하는 일 없습니다. 경제는 실물이 흘러가는 과정 그 자체라서리, 이 변동성에 수많은 이들이 죽어갈 것입니다. 그럼에도, 국가의 경제주권을 빼앗기고, 국부를 강탈당한 일은 없을 것입니다. 그 유명한 조지 소로스가 영국을 환투기질로 털어먹을 때, 영국한테서 헤지펀드가 털어먹은 게 고작 50억불 수준이었을 겁니다.
망하는 일 없더라도, 우리는 계속 방향성 못 찾고, 헤매돌고 있을 것입니다. 헛간 데 잡고 헛된 이념공방으로 쌈질이나 하면서. 어떤 이는 알면서, 어떤 이는 모르면서, 두 눈 벌겋게 뜨고 코 하나 베이면 정신을 차리겠죠. 이리 배우는 게 뼈속 깊이 남을 것입니다.
길게 보면, 역시 축복입니다.
[출처] 펌)환율
'경제 와 제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 2008년 경제위기의 향후 전망 (0) | 2008.12.02 |
---|---|
앨빈 토플러,"새로운 틀로 접근해야 위기극복 가능" (0) | 2008.12.01 |
김광수경제연구소 펌)한미 통화스왑과 한은의 기준금리 인하 (0) | 2008.11.19 |
통화스와프제대로알기...(네이버 펌글) (0) | 2008.10.31 |
대공황의 습격 (0) | 2008.10.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