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월 위기설 최대 고비, 9·11이 다가온다 | |||||||||||||||||||||||||||||||||
[경제뉴스 톺아읽기] 위기설 논란이 빠뜨린 구조적인 불안 | |||||||||||||||||||||||||||||||||
| |||||||||||||||||||||||||||||||||
이번 주 목요일, 11일이 9월 위기설의 최대 고비가 될 전망이다. 경제가 어려운 것은 분명하지만 위기라고 보기는 어렵다는 지적이 많았는데 9월 위기설은 끊임없이 확대 재생산돼 왔다. 오는 11일이 지나면 그 실체가 확인될 것으로 보인다.
셋째, 외국환평형기금채권 발행. 정부는 10일부터 사흘에 걸쳐 해외 금융기관들을 돌면서 10억달러 규모의 외평채 발행을 추진할 계획이다. 외화 조달금리를 낮추고 환율 개입에 필요한 달러화를 대거 확보해 환율을 안정시킨다는 취지에서인데 만약 외평채 발행이 성공한다면 9월 위기설의 우려를 불식시키는데 성공할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발행실적이 신통치 않거나 금리가 시장의 예상보다 높을 경우 오히려 불안을 가중시킬 우려도 있다.
결국 이번 9·11이 지나면 위기설은 어떻게든 일단락될 전망이다. 그러나 주목할 부분은 과연 그동안 언론이 떠들어왔던 것처럼 달러화의 수요 공급 불일치가 위기의 핵심인가다. 그리고 과연 달러화 공급만 해결하면 위기를 넘어설 수 있을 것인가다. 근본적으로 경기 둔화가 지속되고 있고 경제 주체들의 현금흐름이 악화되고 있고 미국 경제의 부진에 따라 세계적인 달러화 공급이 부족한 상황이라는 사실이 간과된 측면이 있다.
그동안 위기설을 강조해왔던 언론이 위기설 이후를 고민하는 모습이 주목된다. 동아일보는 8일 "위기설이 가라앉더라도 세계 금융시장의 불안과 경기 침체 등의 악재가 산적해 있어 한국의 외환시장, 증시의 불안한 장세는 당분간 이어질 수 있다"고 전망했다. 한국일보도 "가계부채와 국제수지 불균형 등의 불안요인을 제대로 관리하지 않으면 위기는 언제든 닥쳐올 수 있다"고 경고했다. 한국경제가 "9월 위기설이 언론탓?"이라는 제목의 기사에서 "정부는 언론을 주범으로 몰았지만 시장은 오래전부터 정부와 금융당국을 손가락질 하고 있었다"고 지적해 눈길을 끌었다
|
'경제 와 제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상당히 재미 있는 시장이네.. (0) | 2008.09.09 |
---|---|
= 고두현의 시 읽는 CEO 중에서 = (0) | 2008.09.08 |
9월위기설은 없다 (펌글) (0) | 2008.09.04 |
[IMF 시즌2] B-52의 출현-히로시마 달러 핵폭탄 투하 [39] (0) | 2008.08.29 |
삼성硏 "미국경기 침체, 3~5년 계속될 것".....1997년 아시아 외환위기와 유사한 상황에도 대비해야 (0) | 2008.08.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