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외환시장 동향 (2009. 4.13~4.17) |
2009.4.17 담당자 : 동향분석실 원종현 연구위원 (6000-5341) |
|
< 동향 및 전망 요약 > |
○ |
전주 말 1,333.0원에서 시작한 환율은 주중에도 크게 변화되는 모습이 보이지 않고 전주 대비 1.0원 하락한 1,332.0원으로 마감. |
― |
환율 하락속도가 크게 떨어지며 1330원대를 지지선으로 한 L자 형태를 나타내고 있음. |
― |
무역수지 흑자규모 확대와 외국인 순 매수규모 급증 등 환율이 크게 하락할 소재임에도 불구하고 예상보다 낮은 환율 하락폭을 보여주었음. | |
○ |
장기적으로는 환율 하락이 대세로 여겨지지만 당분간은 1330원대를 중심으로 한 환율수준은 유지될 것으로 판단됨. |
― |
여전히 대내외 경기상황이 호전되기 어려운 만큼 현 수준 이하의 환율 하락은 다소 시기상조가 될 수 있음. | | | |
|
1. 지난주(2009년 4월 셋째주) 환율 동향 |
○ |
2008년 9월 이후 환율변동이 가장 작게 나타난 한 주로서 원/달러 환율은 1,330원을 중심으로 등락을 반복하지만 국내 외환 수급 여건은 점차 호전되는 모습을 보이고 있음 |
― |
외국인의 유가증권 매수세가 계속된 가운데 무역수지 흑자도 이어지고 있으며, 외화차입 여건 역시 개선 |
― |
CRS 금리의 플러스 전환, 외평채 가산금리 하락, 한국 주요은행의 CDS 프리미엄 하락 등이 외환시장 불안이 해소되는 과정임을 암시하고 있음. |
― |
정부 부문을 제외한 금융회사와 기업의 차환율은 작년 10월 글로벌 신용경색 여파로 54.5%까지 추락했다가 작년 12월 65.5%, 올해 1월 87.1%, 2월 91.6%, 3월 106.3%로 개선 | |
○ |
이번 주는 환율 움직임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이벤트가 부재한 가운데 제한적인 환율 움직임이 나타났으며 실수급에 의해 거래되는 장세 시현 |
| |
|
주간 대미달러 대비 원화가치 추이(2.23~3.20)
 |
|
□ 2009년 4월 셋째주 환율 동향 |
○ |
거의 한달여 동안 나타난 환율 하락세는 다소 진정되어 전주말과 비슷한 수준으로 한주를 마감하였음. |
― |
전주 1,333.0원 대비 1원 하락한 1,332.0원으로 한 주 마감. |
― |
환율이 상승하거나 하락할 특별한 재료가 나타나지 않고 경제상황 역시 다소 정체된 분위기에서 1300원대를 유지하는 경향이 나타났음. | | |
 |
|
□ 환율변동성 |
○ |
환율이 1300원대에서 가격이 고착되는 현상이 나타남에 따라 일중, 일간 변동성은 크게 감소하는 모습을 나타냄. |
|
| |
 |
|
□ 거래규모 |
○ |
환율 및 대내외 거시경제 환율이 한 주간 소강상태를 나타냄에 따라 거래규모는 전주에 비해 다소 감소된 규모를 나타내었음. |
― |
대신 외국환 자금중개시장에서 단기 외환거래를 통한 투기적 거래는 꾸준하게 발생하고 있으나 환율이 어느 한쪽으로 치우친 경향이 나타나지 않는 힘겨루기 상황이 연출되었음. | | |
 |
|
□ 외국인 주식시장 순매수 규모 |
○ |
한국 시장에 대한 외국인의 시각이 호의적으로 변경되고 있음을 시사하듯이 외국인의 주식 순매수 규모는 올 들어 가장 큰 규모로 나타났으며 4월 중 총 2조 7천억원이 넘는 순매수를 나타내고 있음. | |
|
|
□ 달러대비 유로, 엔화 동향 |
○ |
다소 경기회복 기미가 나타나고 있으나 여전히 세계경기에 대한 전망들이 엇갈리면서 엔/달러, 위엔/달러는 일정수준을 벗어나지는 못하였음 |
― |
유로와 달러 모두 달러에 비해 다소 강세를 나타내고 있음. |
― |
시장에서도 유로-달러 환율은 1.30달러에서 1.45달러 사이에서 달러 약세기조는 유지될 것으로 전망이나 엔화에 대해서는 다소 엇갈리는 전망이 제시됨. | | |
|
|
|
2. 전망 |
○ |
한동안 1300원대를 둘러싼 환율수준을 유지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으며 특히 1330원대가 1차적인 지지선으로 이를 중심으로 한 상승, 하락이 반복되는 박스권이 예상 |
― |
국내 외환시장 형편이 호전되고는 있으며 장기적으로는 여전히 환율 하락이 대세이나 단기적으로 환율이 크게 하락할 가능성은 크지 않다고 판단됨. | | |
|
○ |
여전히 환율 하락이 본격적으로 나타나기 어렵다고 생각하는 이유 |
― |
현재의 환율 하락이 한국의 대외 수지 흑자, 국내 경제의 개선기미 가능성, 해외 금융기관의 실적이 기대보다 높게 나타난 데에서 기인하였으나 여전히 향후 대내외 경기가 본격적으로 상승하였다고 보기 어려움. |
― |
이번 주 외국인은 약 1조 2천억원이 넘게 주식 순매수를 기록했음에도 환율이 큰 폭의 하락이 나타나지 못한 이유는 아직 한국 원화에 대한 실 수요가 크게 나타나지 않는다는 반증이기도 함. |
― |
특히 이번 주와 같은 외국인 주식 순매수 규모가 나타날 것이라는 기대보다는 일시적으로 크게 유입된 순매수량이 오히려 반대매매로 전환될 경우의 리스크가 강하게 나타날 수 있음. |
― |
무엇보다 여전히 한국 경제는 대외의존성이 높은 구조로 해외경기에 대한 전망이 여전히 불확실 하다는 대다수 의견 속에서 국내경제 펀더멘털만이 개선되었다고 판단하기 어려움.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