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익한 정보
[외환동향]대내외적 요인에 의해 지속될 가능성이 높은 달러화 약세 분위기
dunia
2008. 12. 16. 17:14
var artId = "1216556";
var catId = "sce21";
var tplId = "1947";
list = new jsList();
list.init(catId, artId, tplId, new data());
function linkCheck(link){
var dir = link.substring(0,link.lastIndexOf('/')+1);
var url = link.substring(dir.length,link.length+1);
document.write("" + url + "");
}
|
제목
 |
[외환동향]대내외적 요인에 의해 지속될 가능성이 높은 달러화 약세 분위기 |
|
| |
작성자
 |
관리자 |
등록일
 |
2008.12.15 | |
|
|
|
|
|
주간외환시장 동향 (12. 15~12. 20) |
2008.12.15 담당자 : 동향분석실 원종현 연구위원 (6000-5431) |
|
< 동향 요약 > |
○ |
11일 한은 기준금리 1%대폭 인하에 따른 경기 부양 기대와 12일 600억불 규모의 한중, 한일간 통화 스와프 확대 협정을 체결함으로서 환율은 전주에 비해 6.98% 하락하여 한달여만에 1300원대 재 진입 |
○ |
12일 미 자동차 3사 구제금융 부결로 일시적 반등이 있었으나 대미 달러화의 하락기조는 당분간 유지될 전망 |
○ |
이번주 환율의 방향성은 자동차 3사 구제금융 부결에 따른 대책에 따라 영향 받을 것으로 판단되나 여전히 하락 가능성이 높은 편임 | | |
|
1. 지난주 환율 동향 |
○ |
12월 외국인 주식 순매수 영향으로 두주 내내 환율은 하락 추세 유지 |
|
― |
연말을 대비한 달러화 보유 포지션 정리 매물과 안전자산선호 약화 분위기 속에 달러화는 안정추세를 나타냄. |
― |
특히 정부의 강력한 경기 부양의지와 한중, 한일 스왑 확대로 인한 외환 수급사정의 개선이 환율 하락에 크게 영향을 주었음. | |
○ |
한은 기준금리 1% 인하는 시장의 기대를 초과하는 규모로 대외적으로 한국경제에 대한 신뢰도가 제고될 수 있음. |
― |
원화의 추가적인 약세가 우려되기도 하나 현 상황은 금융/경제 위기와 디레버리징 국면으로 경기부양이 더 시급한 상황이란 공감대 형성 | |
○ |
12월 12일 미 자동차업계의 구제금융안이 부결되어 지난 주 내내 안정되던 외환시장이 달러화 및 엔화 강세로 전환되었음. |
| |
□ 12월 8일~12일간 환율 추이 |
○ |
소폭이나마 한주 내내 환율은 안정세를 회복 |
|
― |
환율이 지난 주 대비 6.98% 하락하면서 1300원대로 안정세 |
― |
그러나 여전히 연초 대비 46.62% 원화의 평가 절하된 수치임. | | |
 |
|
□ 환율변동성 |
○ |
10월 이후 차츰 안정되는 경향이 있으나 지난 주에 비해 높은 수준 |
|
― |
환율 하락 폭이 지난 주에 비해 다소 높아 변동성지표인 표준 편차는 다소 크게 나타남. |
― |
일일 변동성은 높게 나타나 시장의 불확실성이 제거되지 못한 모습 | | |
 |
 |
|
2. 전망 |
○ |
외부 충격 요소만 없다면 달러/원 환율은 전반적인 달러 약세 속에 하락 분위기를 지속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됨. |
|
― |
지난 12일 발표된 미국 자동차 3사 구제금융안 부결에 따라 야기된 주식시장과 외환시장의 혼란이 이번 주 중 어떠한 대책으로 진정될 지가 관건이 될 것임. | | |
|
○ |
한중, 한일간 통화스와프 한도 증액으로 외환보유고의 감소 없이 달러의 국내공급이 가능해져 환율 변동성은 다소 완화되리라 추정 |
|
― |
통화스와프 한도를 확대한 것만으로도 시장에 긍정적 효과를 줄 수 있을 것으로 보임. |
― |
이전 한미 통화스와프 자금이 시중에 나오면서 외화자금시장 안정에 크게 도움이 된바가 있음 | | |
|
○ |
17일 개최될 미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에서 0% 기준금리 가능성이 높아짐에 따라 이번 주 다소간의 등락이 있을 수 있으나 전반적으로는 환율의 지속적 하락이 전망됨. | |
|
3. 금주 주요 발표 (12.01 ~12.05) |
 |
|
※보고서 전문은 첨부파일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