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와 제테크

9월 위기설 최대 고비, 9·11이 다가온다 (펌글)

dunia 2008. 9. 8. 13:45

9월 위기설 최대 고비, 9·11이 다가온다

[경제뉴스 톺아읽기] 위기설 논란이 빠뜨린 구조적인 불안

2008년 09월 08일 (월) 08:51:37

이정환 기자 ( black@mediatoday.co.kr)

 

 

 

이번 주 목요일, 11일이 9월 위기설의 최대 고비가 될 전망이다. 경제가 어려운 것은 분명하지만 위기라고 보기는 어렵다는 지적이 많았는데 9월 위기설은 끊임없이 확대 재생산돼 왔다. 오는 11일이 지나면 그 실체가 확인될 것으로 보인다.

9·11을 결정할 변수는 크게 네 가지다.

첫째, 외국인 채권 만기. 외국인들이 한꺼번에 빠져 나가서 외환보유액이 바닥날 것이라는 우려가 있었던 만큼 9일과 10일에 몰려 있는 채권 만기가 1차 고비가 될 전망이다. 이틀 동안 18조8천억원의 국고채 만기가 돌아오고, 이 가운데 5조7천억원 정도가 외국인 보유 채권이다. 정부는 상환자금을 충분히 마련해 놓은데다 상당 부분은 만기 이월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 시점에 한꺼번에 굳이 빠져나갈 이유가 없다는 입장이다.

둘째, 선물옵션 만기일. 오는 11일, 주가지수 선물과 주가지수 옵션, 개별주식 선물과 개별주식 옵션 등 4개 상품의 동시 만기가 겹치는 이른 바 쿼드러플 위칭 데이(Quadruple Witching Day)다. 굳이 풀어쓰자면 네 마녀(witch)의 날이다. 문제는 매수차익잔고가 사상 최대 규모로 9조4천억원이 넘는데 이 가운데 어느 정도가 만기일에 출회될 것인지가 관건이다.

매수차익잔고란 선물과 현물의 가격 차이를 이용, 프로그램 매매를 통해 사들인 물량을 말한다. 매수차익잔고가 사상 최대 규모로 불어난 것은 그만큼 현물 가격이 많이 빠졌기 때문인데 만기일 무렵 주가가 오르면 이 가운데 상당 부분이 청산되면서 주가가 크게 출렁거리게 된다. 일부 언론에서 연기금의 개입을 노골적으로 주문하는 것도 이런 이유에서다. 연기금이 매수차익잔고 물량을 받아서 주가를 떠받쳐야 한다는 이야기다.

 

 

 

▲ 서울신문 9월8일 3면.

 

 

셋째, 외국환평형기금채권 발행. 정부는 10일부터 사흘에 걸쳐 해외 금융기관들을 돌면서 10억달러 규모의 외평채 발행을 추진할 계획이다. 외화 조달금리를 낮추고 환율 개입에 필요한 달러화를 대거 확보해 환율을 안정시킨다는 취지에서인데 만약 외평채 발행이 성공한다면 9월 위기설의 우려를 불식시키는데 성공할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발행실적이 신통치 않거나 금리가 시장의 예상보다 높을 경우 오히려 불안을 가중시킬 우려도 있다.

마지막으로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결정. 11일로 예정된 금융통화위원회의 결과도 주목된다. 금리를 동결할 거라는 게 지배적인 전망이지만 높은 물가와 환율을 고려해 금리를 인상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경상수지와 자본수지 적자를 메우기 위해서라도 금리 인상이 필요하다는 견해도 있다. 다만 대부분의 전문가들은 경기둔화 우려를 무시하고 두 달 연속 금리 인상은 어렵지 않겠느냐는 반응이다.

 

 

 

▲ 동아일보 9월8일 2면.

 

 

결국 이번 9·11이 지나면 위기설은 어떻게든 일단락될 전망이다. 그러나 주목할 부분은 과연 그동안 언론이 떠들어왔던 것처럼 달러화의 수요 공급 불일치가 위기의 핵심인가다. 그리고 과연 달러화 공급만 해결하면 위기를 넘어설 수 있을 것인가다. 근본적으로 경기 둔화가 지속되고 있고 경제 주체들의 현금흐름이 악화되고 있고 미국 경제의 부진에 따라 세계적인 달러화 공급이 부족한 상황이라는 사실이 간과된 측면이 있다.

더 근본적인 문제제기는 9월 위기설이 해결된다고 해도 달러화 수급이나 원화 유동성 사정이 크게 개선되지 않을 수 있다는 부분이다. 본격적인 경기 회복이 내년 1분기 이후에나 가능할 것이라는 전망도 이런 우려에 힘을 더한다. 특히 우리 경제의 성장 모멘텀 둔화와 내수 침체의 원인이 내수와 수출의 양극화,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양극화, 고소득 계층과 저소득 계층의 소비 양극화 등 구조적인 양극화에 있다는 점을 감안하면, 이명박 정부가 문제인식을 제대로 하고 있는지도 의문이다. 상위 5%에 혜택을 몰아주는 최근 대규모 감세 정책 역시 문제 해결에는 큰 도움이 되지 않을 전망이다.

 

 

 

▲ 매일경제 9월8일 38면.

 

 

그동안 위기설을 강조해왔던 언론이 위기설 이후를 고민하는 모습이 주목된다. 동아일보는 8일 "위기설이 가라앉더라도 세계 금융시장의 불안과 경기 침체 등의 악재가 산적해 있어 한국의 외환시장, 증시의 불안한 장세는 당분간 이어질 수 있다"고 전망했다. 한국일보도 "가계부채와 국제수지 불균형 등의 불안요인을 제대로 관리하지 않으면 위기는 언제든 닥쳐올 수 있다"고 경고했다. 한국경제가 "9월 위기설이 언론탓?"이라는 제목의 기사에서 "정부는 언론을 주범으로 몰았지만 시장은 오래전부터 정부와 금융당국을 손가락질 하고 있었다"고 지적해 눈길을 끌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