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와 제테크
금융시장 3분기 위기감 커지나 ... 금융시장 일각에서는 '8~9월 괴담설'마저 나오고 있어
dunia
2008. 5. 16. 11:23
금융시장 3분기 위기감 커지나 | |||||||||
8월부터 만기 돌아오는 외국인 채권투자자금이 변수
| |||||||||
"깨지기 쉬운 유리잔을 손에 들고 있는 느낌이다. 환율ㆍ금리가 조그마한 외부 요인에도 출렁이고 있다."
국내 금융시장의 변동성이 부쩍 높아진 가운데 금융시장 일각에서는 '8~9월 괴담설'마저 나오고 있다.
지난해 8월부터 원화채권을 대거 사들인 외국인들이 만기가 속속 도래하는 원화채권을 대거 정리하면서 달러가 썰물처럼 빠져나갈 경우 채권시장이 요동치고 외화유동성에 악영향을 줄 수 있다는 얘기다. 또한 국내 금융회사와 기업들의 중장기 외화차입 만기가 올 8~9월에 몰려 있는 점, 일본계 금융회사가 반기 결산기(9월)를 맞아 달러 공급을 꺼릴 수 있다는 점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염려도 제기된다. ◆ 외국인 채권자금 변수 = 외국인들은 지난 한 해 동안 33조5000억원어치의 원화채권을 순매수했다. 올 들어서도 지난 9일까지 17조원의 채권을 순매수했다. 외국인들의 채권 보유잔고는 47조6000억원이 넘는다. 문제는 작년 8월부터 외국인들의 채권 매입이 급증했다는 점이다. 금융권에서는 외국인들의 채권 매수자금 중 상당액이 무위험 재정거래로 차익을 챙기려는 투기성 단기자금일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김용준 국제금융센터 부장은 "외국인들이 국고채와 통안채 1~2년물에 주로 투자했으며 최근에는 1~2년물의 비중이 더욱 커지고 있다"고 말했다. 국제금융센터 측은 외국인들의 원화채권 매수자금이 국외로 이탈할 가능성에 대해 △조기 손절매 △조기 차익정산 △만기 차익정산의 세 가지 시나리오 중 만기까지 채권을 보유해 차익 실현할 가능성이 크다고 내다봤다. 결국 올 8월부터 외국인 보유채권 중 상당액이 만기가 돌아오면서 일시에 정리될 경우 국내 금융시장에 충격을 줄 우려가 있다. 일단 외국인들이 채권 투자자금을 회수하기보다는 또다시 차익거래에 나설 가능성이 높다는 게 국제금융센터의 전망이다. 스와프 베이시스가 벌어져 있는 한 무위험 차익거래 유인이 존재한다는 설명이다. 하지만 올 하반기 들어 스와프 시장이 작년 하반기 수준으로 회복되면 차익거래 대신 채권 투자자금 회수를 택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이 경우 채권금리 상승(채권값 하락)과 외화 유동성 부족 등이 시장에 충격을 줄 수 있다. 게다가 국내 시중은행의 외화자금줄 역할을 했던 일본계, 대만계 은행들의 분기 결산이 9월에 몰려 있어 달러 구하기는 더 어려워질 수 있다. ◆ 변동성 커진 금융시장 = 최근 외환시장은 급등락을 반복하면서 하루에 20~30원이 움직일 정도로 변동성이 극에 달했다. 지난 3월 17일 달러 대비 원화값이 하루에 30원 가까이 폭락한 데 이어 지난 8일에도 하루 낙폭이 25.5원에 달했다. 지난해 12월부터 흑자를 보이던 경상수지가 적자로 반전되면서 시중에 달러가 부족하다 보니 조그만 물량이나 뉴스에도 외환시장이 춤을 추고 있다. 한 외국계 은행 관계자는 "과거에는 외환시장에서 하루에 20억달러가 빠져나가더라도 달러당 원화값이 5원 정도 떨어지는 정도였는데 최근에 그런 일이 일어난다면 50원 넘게 급락할 것"이라고 말했다. 채권시장도 변동성이 높아졌다. 박종연 우리투자증권 연구위원은 "지난달 말 4.88%였던 국고채 3년물 금리는 지난 13일 5.30%로 불과 2주 만에 40bp(1bp=0.01%포인트) 이상 올랐다"고 말했다 |